|||

〈기예르모토로의 피노키오〉 투비컨티뉴드 아카이브

스톱모션의 몰락

스톱모션의 몰락은 갑자기 찾아왔습니다. 1991년, <쥬라기 공원>을 준비하고 있던 스티븐 스필버그는 유니버설 스튜디오의상영관에서 5초짜리 데모 영상을 보고 말합니다. 결정했어요. 우린 저걸겁니다.’

스필버그가 말한 저것’은 컴퓨터 그래픽을 뜻합니다. 스필버그의말과 함께, 스톱모션 기술의 쇠퇴가 시작됩니다. 상상력을 현실로 구현하는 가장 중요한 기술하나였던 스톱모션 기술이 구닥다리가 되어 컴퓨터 그래픽(CG)이라는 신기술에 밀려나게 되는 순간이었죠.

본래 <쥬라기 공원>멸종된 공룡들은 스톱모션 애니메이션과 애니메트로닉스를 통해 구현될 예정이었습니다. <스타워즈>에서 스톱모션을 담당했던티펫이 공룡의 스톱모션 파트를 맡고, <터미네이터>와 <에일리언 2>에서 애니메트로닉스 기술을 담당했던 스탠 윈스턴이 공룡의 애니메트로닉스 파트를 맡아기술을 조화롭게 이용해서 멸종된 공룡을 스크린 위에 구현한다는 구상이었죠.

하지만 컴퓨터 그래픽을 통해사실적으로 공룡의 모습을 구현할있다는 사실이 밝혀지자, 스필버그는 스톱모션 대신 컴퓨터 그래픽을 사용하기로 결정합니다. 이 사실을 전해 들은 스톱모션 기술자티펫은충격을 받았고, 폐렴에 걸려 열흘 가까이 침대에 누워 지냈다고 합니다. 훗날 스필버그는티펫에게 스톱모션 대신 컴퓨터 그래픽을 쓰기로 했다는 이야기를 들었을기분이 어땠느냐’고 질문했고, 이에티펫은 내가 멸종하는 기분이었다’고 대답했다고 하죠. 스필버그는대사를 영화 속에 삽입했고요.

스톱모션의 쇠퇴와 컴퓨터 그래픽의 부흥은 어느 정도는 예견된 일이었습니다. <쥬라기 공원>이 나오기 전에 제임스 카메론 감독은 영화 <어비스>와 <터미네이터2: 심판의 날>을 만들면서 컴퓨터 그래픽의 가능성을 보여준있기 때문입니다. 움직이지 않는 피사체를프레임씩 촬영하여 움직임을 부여하는 스톱모션 기술은 모션 블러의 부재 탓에 스톱모션 특유의 삐걱거리는 느낌을 피하기가 어렵습니다. 컴퓨터를 통해 모션 블러를 넣는 기술이 개발되기도 했지만(이것을 주도했던 인물이 바로티펫이고, 이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만들어진 회사가 바로 쥬라기 공원의 컴퓨터 그래픽을 담당하게 되는 ILM입니다) 특유의 삐걱거리는 느낌을 극복하기는 어려웠다나 봅니다. 결국 스톱모션 기술은 사실성 측면에서 컴퓨터 그래픽을 이길없었고, 컴퓨터 그래픽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스톱모션 기술은 주류에서 멀어지고 맙니다.

물론 스톱모션 기술이 일제히 사라진 것은 아닙니다. <숀더쉽>, <윌레스와 그로밋>의 아드만 스튜디오, <유령신부>, <코렐라인>의 라이카 스튜디오에서는 여전히 훌륭한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을 만들면서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의 계보를 이어갔기 때문입니다. 스톱모션 기술의 몰락을 목격했던티펫 또한 30년간 <매드 갓>이라는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을 만들면서 스톱모션 기술이 다시 인정을 받게날을 준비해 왔습니다. 그 결과, 2020년대에 이르러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은 <윈델 & 와일드>, <매드 갓> 그리고 <기예르모토로의 피노키오>를 통해 메인스트림에서 화려하게 부활하기에 이르지요.

메타적인 영화, 피노키오

제가 생각하기에 <기예르모토로의 피노키오>는 메타적인 영화입니다.

무생물인 피노키오가 생명을 얻어 움직일있게 된다는 것은 움직이지 않는 피사체들을 촬영하여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만드는 스톱모션 기술을 연상시킵니다. 스톱모션 특유의 삐걱거림과 사실과 비슷한다른 움직임은 삐걱거리며 움직이면서 사람과 비슷한다르게 움직이는 피노키오의 움직임과 유사한 면이 있지요.

피노키오
“전 피노키오에요. 전 남자아이죠. 아무래도 제가 죽었나 봐요.”

죽음
“그래, 알겠다. 빌린 영혼을 지닌 나무 소년. 내 동생이 저지른 실수로군. 감상적인 바보 같으니. 그 애가 네게 생명을 줬는데생명을 가질 존재가 아니야. 의자나 탁자에 생명이 없듯이. 그래서진정으로 죽을 수도 없는 거야.”

피노키오
“그거 좋은 거죠?”

죽음
“다시 말하자면절대 그런 존재가 될 수 없어. 카를로 같은 인간 아이는수가 없지. 인간의 삶이 귀하고 의미 있는 건 그 삶이 짧기 때문이야. 오해는 하지 마라. 넌 죽을 거야. 그것도 아주 여러 번. 이번처럼 말이야. 하지만 그건 진짜 죽음이 아니야. 그저 기다리는 시간이지. 세상엔 규칙이란있어. 내 동생은 그걸 무시하지만 말이야. 우린 모래가떨어질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넌 여기곁에서 기다려야 하고. 그 기간은 매번길어질 거다. 시간이 다 될 때까지.”

피노키오가 교통사고를 당해 사후세계에 가게 되었을 때, 죽음’이 피노키오에게 생명을 가질 존재가 아니야. 의자나 탁자에 생명이 없듯이“라고 말하며 모래 시계를 보여주는 장면이 흥미롭게 다가오는 이유는때문입니다. 스톱모션 기술은 움직이지 않는 피사체를 연속적으로 촬영해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만드는 기술입니다. 움직이지 않는 사물에 시간’을 더해 생명’을 창조하는 기술인 셈이지요. 그래서장면은 피노키오가 스톱모션 기술을 체현하고 있는 존재라는 것을 강조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그러니까 <기예르모토로의 피노키오>는 어째서 스톱모션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기예르모토로와 스톱모션 기술자들 나름대로의 답변이라는 것이 저의 생각입니다. 2020년대에 와서 스톱모션 기술이 다시 주목 받게이유는 피노키오는 인간이라 볼 수 있는가?’라는 영화질문과 맞닿은 지점이 분명히 존재합니다.

스톱모션 기술이 다시 주목 받게이유는 컴퓨터 그래픽 기술이 너무나도 발전함에 따라 인간미’를 잃어버렸기 때문입니다. 컴퓨터 그래픽 기술은 모든 것을 구현 가능합니다. 이제는 컴퓨터 그래픽이 구현하지 못하는 것을 찾는 것이빠를 지경이니까요. 아이러니하게도 기술의 발전은 컴퓨터 그래픽을 시시해 보이게 만들었습니다. 컴퓨터 그래픽으로 트럭이 뒤집어지는 장면을 만들었다고 하면 시시하게 느껴지는 반면에 실제로 트럭을 뒤집어서 촬영했다고 하면 놀랍게 느껴지는 시대가 오게겁니다. 이런 흐름 속에서,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은 다시 되살아났습니다. 카를로가 피노키오로 다시 태어난 것처럼요.

기예르모토로의 영화

<기예르모토로의 피노키오>가 놀라운 이유는영화가 단지 스톱모션 기술에 대한 메타적인 코멘터리에 그치지 않고 있다는 점입니다. <기예르모토로의 피노키오>는 누가 보아도 기예르모토로의 영화입니다. 실제로 기예르모토로는영화를 <악마의 등뼈>, <판의 미로>와 함께 삼부작 영화로 여기고 있다 말하기도 했죠. <기예르모토로의 피노키오>에 나타난 기예르모토로의 모티브를 정리해보겠습니다.

1. 아버지와의 관계

<기예르모토로의 피노키오>에서 가장 눈에 띄는 모티브하나는 부자 관계’입니다. 기예르모토로의 영화에서는 아버지와의 관계가 중요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예르모토로가 영화화를 맡은 <헬보이> 시리즈에서 트레버 박사와 헬보이의 관계는 (원작과 달리) 부자 관계로 묘사됩니다.

<악마의 등뼈>에서는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지만) 내전으로 인해 아버지를 잃은 카를로스가 고아원에 들어가게 되면서 이야기가 시작되지요.

<판의 미로>에서는 권위적인 파시스트 양아버지 비달 대위와 그 딸 오필리아의 관계가 중요하게 나타납니다.

<나이트메어 앨리>의 주인공, 스탠턴 칼라일의 원죄 또한 아버지와의 관계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2. 고전의 재해석

기예르모토로는 고전을 가져오되, 자기만의 방식으로 재해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재해석의 방법도 뚜렷한데, 인간 중심적인 텍스트를 탈인간 중심적으로 뒤집는 것입니다.

기예르모토로의 대표작 <판의 미로>는 아서 매켄의 소설 <위대한 신, 판>을 재해석한 작품입니다. 초기 코즈믹 호러 소설하나로 여겨지는 <위대한 신, 판>은 원초적이고 야만적인 신(혹은 악마) 판’에게 홀린 여성이 주변 사람들을 타락시키가다 결국 퇴치 당하는 이야기를 묘사하고 있습니다. 기예르모토로는이야기를 뒤집어, 순수함을 가진 소녀 오필리아가 비정하고 가부장적인 파시즘에 희생되는 이야기로 탈바꿈 시켰습니다.

<셰이프 오브 워터>가 고전 영화 <검은 늪지대의 생명체(검은 산호초의 괴물)>에서 영감을 받은 영화라는 사실은 영화광들 사이에서는 널리알려져 있습니다. 기예르모토로 감독은 어려서부터영화를 좋아했는데, 케이 로렌스와 괴물 사이의 로맨스가 이루어지지 않고 끝난다는 것이 마음에 들지 않았던 기예르모토로 감독이 둘의 사랑을 완성하기 위해 <셰이프 오브 워터>를 만들었다고 하죠.

3. 프랑켄슈타인

기예르모토로 감독이 프랑켄슈타인의 열광적인 팬이라는 사실은 쉽게 눈치 챌 수 있습니다. 기예르모토로의 영화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 중 하나가 프랑켄슈타인 모티브이기 때문입니다. 소설 <프랑켄슈타인>을것은 메리 셸리이지만, 우리가 프랑켄슈타인’하면 떠오르는 프랑켄슈타인의 괴물 이미지를 완성한 것은 제임스 웨일 감독의 1931년 영화 <프랑켄슈타인>입니다. (이 영화가 만들어진 이후로 프랑켄슈타인의 괴물은이미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죠.)

기예르모토로 감독은 <프랑켄슈타인>의 모티브를 적극적으로 작품 내에 끌어들이곤 합니다(소설 그대로가 아니라 제임스 웨일에 의해 가공된 <프랑켄슈타인>을 말입니다). 대표적인 작품이 <셰이프 오브 워터>인데 주인공 엘라이자의 이웃이자 이야기의 화자이기도 자일스’는 노골적으로 제임스 웨일을 모델로캐릭터입니다. 자일스는 제임스 웨일처럼 동성애자이며, 예술가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감독 제임스 웨일의 이야기는 <갓몬스터>라는 제목으로 영화화 되기도 했습니다. 이안 맥켈런이 제임스 웨일을 맡아 연기했죠.)

뚜렷한 메세지

글을 읽으면서 정작 <기예르모토로의 피노키오>에 대한 이야기가 거의 없다는 것을 눈치채셨을 겁니다. 그도 그럴 것이 <기예르모토로의 피노키오>는덧붙일 이야기가 없을 정도로 뚜렷하기 때문입니다. <기예르모토로의 피노키오>의 텍스트만으로 글을 쓰면 누구나 떠올리고 이야기 할 수 있을 내용의 글을수밖에 없었을 겁니다. 그만큼 <기예르모토로의 피노키오>가 이야기하는 바는 명확합니다.

<기예르모토로의 피노키오>가 이토록 뚜렷한 메세지를 가진 영화가 될 수 있었던 이유는 좋은 작가가 좋은 원작을 만났기 때문입니다. <기예르모토로의 피노키오>를 보는 저는 이제이상 기예르모토로의 것이 아닌 피노키오를 상상하기가어려워졌습니다. 기예르모토로는 언제나 같은 이야기를 합니다. 기예르모토로가 자기반복적인 작가라서가 아니라, 그의 작품들은 모두 느슨하게 연결된 하나의 작품 세계를 이루고 있기 때문입니다.

<기예르모토로의 피노키오>는 분명 디즈니가 각색한 <피노키오>에 비해 음산합니다. 그러나 <기예르모토로의 피노키오>음산한 분위기나 내용들은 사실 카를로 콜로디의 원작에도 나타나던 것들입니다. 어쩌면 <기예르모토로의 피노키오>가 디즈니가 각색한 <피노키오>보다 원작 동화에 가까울지도 모릅니다.

Up next 〈NOPE〉 투비컨티뉴드 아카이브 〈장화신은 고양이2: 끝내주는 모험〉 투비컨티뉴드 아카이브
Latest posts [책] 창작자를 위한 지브리 스토리텔링 〈아바타2: 물의 길〉 투비컨티뉴드 아카이브 〈장화신은 고양이2: 끝내주는 모험〉 투비컨티뉴드 아카이브 〈기예르모 델 토로의 피노키오〉 투비컨티뉴드 아카이브 〈NOPE〉 투비컨티뉴드 아카이브 〈에브리싱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투비컨티뉴드 아카이브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타래 아카이브 〈어드벤처 타임: 버블린〉 타래 아카이브 [영화] 닫힌 세계와 그 친구들(2022) 〈모노노케 히메〉 타래 아카이브 〈벼랑 위의 포뇨〉 타래 아카이브 〈하울의 움직이는 성〉 타래 아카이브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타래 아카이브 [영화] 친구의 얼굴(2020) [영화] 최초의 가족(2018)